블로그 이미지
tisong

Rss feed Tistory
자동차 전문 평가사/자동차 기술 2012. 10. 22. 18:23

Toe-in Camber Caster

오늘은 바퀴의 미세한 각도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바퀴속에 숨은 눈에 보이지 않는 3개의 각이 자동차를 굴러가게 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런 각들이 외 필요한지 사고차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결과로서 어떤 현상을 격게 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자


캠버 (Camber)

바퀴를 앞에서 보면 수직선에 대해 중심선이 경사되어 있는 것이며 바퀴의 중심선과 노면에 대한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캠버각이라 한다. 캠버는 차종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0.5~2도 정도로 되어 있다 .바퀴가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정(+)의 캠버(Positivie Camber)라 하고 바퀴가 안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부(-)의 (Negative Camber)라 한다. 캠버를 두는 이유는 앞바퀴가 하중을 받았을때 앞차축의 휨을 방지하고, 핸들의 조작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이다.

출처 : http://www.gtspirit.com


캐스터(Caster)

바퀴를 옆에서 보면 차축에 설치한 킹핀(또는 조향축)이 수직선과 각도를 이루고 설치된 상태를 캐스터라 하며 보통 0.5~3도 정도로 되어 있다. 이때 킹핀 중심선의 연장선이 노면과 교차하는 지점과 타이어 접지면의 중심과의 거리를 트레일이라한다. 트레일이 길면 직진성이 좋지만 핸들은 무거워진다. 캐스터의 연장선 지점이 타이어의 접지면보다 앞쪽에 있으면 바퀴에 작용하는 구름 저항은 타이어 접지면의 중심에 작용하므로 주행할 때는 항상 바퀴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힘이 발생하여 바퀴의 복원력을 준다. 캐스터는 주행중인 조향 바퀴에 방향성, 직진성을 주며, 바퀴의 복원력을 준다. 


출처 : http://www.justih.org


토우인(Toe-in)

바퀴를 위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바퀴의 중심간 거리가 뒷부분보다 앞부분이 좁게 된 상태를 토우인이라한다. 토우인은 일반적으로 2~8mm정도이며 바퀴의 앞쪽이 뒤쪽보다 넓게 되어 있는 것은 토우아웃이라 한다. 토우인을 하게 되면 앞바퀴를 평행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바퀴의 사이드 슬립과 타이어 마멸을 방지한다. 또한 조향 링키지의 마멸에 의한 토우아웃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
자동차 전문 평가사/자동차 기술 2012. 10. 12. 17:17

윤활유 첨가제의 종류와 기능


오일 교환할때의 적절한 복장

윤활유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의 입장에서 가장 신경을 쓰는 관리 부분의 하나일 것이다. 딴것은 몰라도 윤활유에 대하여는 주변을 통해서도 간혹 의견을 주고 받기도 하는 것만 봐도 알수 있다. 


자동차 포털 사이트의 게시판에서도 합성유와 광유에 대한 논쟁이 있고 이에 대한 결론은 비싼것 넣고 아까워서 오래 쓰는 것보다는 저렴한 오일을 적기에 갈아 주는 것이 좋다는 결론이 대체로 많은 것 같다.


윤활유는 금속 마찰면의 마찰 저항을 줄이는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간단히 알고 있을 것이다. 세부적인 기능으로는 

- 밀봉작용을 통한 폭발력 향상, 엔진오일 연소 방지

- 엔진 오일의 냉각 작용을 통한 실린더 내부의 냉각 작용

- 불순물을 엔진 오일 필터를 통해 세척하는 기능

- 연소, 행정시에 발생하는 높은 압력을 액 전체에 분산시켜 평균화 시키는 작용

- 외부 공기, 수분, 부식성 가스의 침투를 막아 금속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등을 한다.


결론은 매끌거린다고 오일의 역할을 완벽히 한다고 볼 수 없다는 잠정적인 결론에 다다른다.

엔진오일의 구비조건은 다음과 같다.

- 적당한 점도와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을 것

- 강인한 유막을 형성할 것

- 인화점과 발화점이 높을 것

- 기포 발생이 적을 것


모든오일에는 위와 같은 기능에 대하여 요건을 만족하거나 좋다는 선전문구 뿐이어서 오일을 고르기 쉽지 않다. 또한 오일의 점도에 대한 기준(SAE 분류)으로만 제품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좀더 면밀하게 비교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답답한 경우가 있다


오일의 성분 함량표시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 한다면 좀더 판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은 오일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의 분류이며 이러한 요소들은 어떻게 합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품질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 산화 방지제

- 부식 방지제

- 청정 분산제

- 유동점 강하제

- 점도지수 향상제

- 기포 방지제

- 유성 향상제

 



오일하나 고르자고 이런 부분을 모두 공부하고 판단할 수는 없다.  하지만 오일이 마찰 감소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된다면 좀더 신중하게 고르고 잘 관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이 된다.

'자동차 전문 평가사 > 자동차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e-in Camber Caster  (0) 2012.10.22
VVT의 작동 원리와 밸브 오버랩  (0) 2012.10.10
,
자동차 전문 평가사/자동차 기술 2012. 10. 10. 17:00

VVT의 작동 원리와 밸브 오버랩

흡·배기 작용을 완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사점을 기준으로 흡기 밸브는 조금 빠르게 열리고, 배기 밸브는 조금 늦게까지 열린 채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흡·배기 밸브가 동시에 열려 있는 시기가 있게 되며, 이것을 밸브 오버랩이라고 한다. 이 기간은 보통 고속 기관일수록 크고, 디젤 기관, 특히 과급(turbo)을 하는 경우에는 더욱 크다.

저속에서는 오버랩 기간을 줄이고, 고속에서는 오버랩 기간을 늘여 엔진 성능을 높이고자 하는 기술이 VVT이다. 방식으로는 고속캠과 저속캠을 이원화 하는 방식과 흡기캠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 두가지가 있다. 흡기캠을 위상변화시켜 고속과 저속시에 밸브 오버랩을 조절하게 된다.

ECU에서 가변밸브 타이밍의 신호가 발생하면 유압솔레노이드의 작동으로 헤리컬기어가 캠축을 회전시키 캠축의 각도를 조절한다.

엔진의 출력과 연비를 높일수있어 최근 자동차에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http://www.bellonsales.com/



'자동차 전문 평가사 > 자동차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e-in Camber Caster  (0) 2012.10.22
윤활유 첨가제의 종류와 기능  (0) 2012.10.12
,
TOTAL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