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전문 평가사/자동차 기술

윤활유 첨가제의 종류와 기능

tisong 2012. 10. 12. 17:17


오일 교환할때의 적절한 복장

윤활유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자의 입장에서 가장 신경을 쓰는 관리 부분의 하나일 것이다. 딴것은 몰라도 윤활유에 대하여는 주변을 통해서도 간혹 의견을 주고 받기도 하는 것만 봐도 알수 있다. 


자동차 포털 사이트의 게시판에서도 합성유와 광유에 대한 논쟁이 있고 이에 대한 결론은 비싼것 넣고 아까워서 오래 쓰는 것보다는 저렴한 오일을 적기에 갈아 주는 것이 좋다는 결론이 대체로 많은 것 같다.


윤활유는 금속 마찰면의 마찰 저항을 줄이는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간단히 알고 있을 것이다. 세부적인 기능으로는 

- 밀봉작용을 통한 폭발력 향상, 엔진오일 연소 방지

- 엔진 오일의 냉각 작용을 통한 실린더 내부의 냉각 작용

- 불순물을 엔진 오일 필터를 통해 세척하는 기능

- 연소, 행정시에 발생하는 높은 압력을 액 전체에 분산시켜 평균화 시키는 작용

- 외부 공기, 수분, 부식성 가스의 침투를 막아 금속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등을 한다.


결론은 매끌거린다고 오일의 역할을 완벽히 한다고 볼 수 없다는 잠정적인 결론에 다다른다.

엔진오일의 구비조건은 다음과 같다.

- 적당한 점도와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을 것

- 강인한 유막을 형성할 것

- 인화점과 발화점이 높을 것

- 기포 발생이 적을 것


모든오일에는 위와 같은 기능에 대하여 요건을 만족하거나 좋다는 선전문구 뿐이어서 오일을 고르기 쉽지 않다. 또한 오일의 점도에 대한 기준(SAE 분류)으로만 제품을 선택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좀더 면밀하게 비교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답답한 경우가 있다


오일의 성분 함량표시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 한다면 좀더 판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은 오일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의 분류이며 이러한 요소들은 어떻게 합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품질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 산화 방지제

- 부식 방지제

- 청정 분산제

- 유동점 강하제

- 점도지수 향상제

- 기포 방지제

- 유성 향상제

 



오일하나 고르자고 이런 부분을 모두 공부하고 판단할 수는 없다.  하지만 오일이 마찰 감소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된다면 좀더 신중하게 고르고 잘 관리해야 할 것으로 생각이 된다.